본문 바로가기
경제

쉬운 재테크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2탄)

by 디랩스 2025. 5. 8.

"ISA, ETF, 복리, DSR… 전부 영어 약자인데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 재테크를 시작하려고 해도, 용어부터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 많으시죠?

이 글에서는 초보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재테크 필수 용어 10가지
쉬운 말과 예시 중심으로 설명해드립니다.
돈이 모이는 구조를 이해하고 싶은 분들께 강력 추천드립니다.

1. 복리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이에요.
예: 1,000만원을 연 10%로 복리 투자하면, 첫 해엔 100만원, 둘째 해엔 110만원 이자가 붙어요.
💡 시간이 지날수록 더 빠르게 불어나는 구조입니다.

2. 단리

매년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예: 연 10% 단리면, 매년 100만원씩만 이자 발생 (복리와 차이 비교 필요)

3. ETF (상장지수펀드)

여러 종목(주식, 채권 등)을 한 바구니에 담아 만든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하는 상품이에요.
예: "코스피 200 ETF"는 코스피 대표 200개 종목에 분산 투자한 셈

4.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대출 심사 기준으로,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 비율을 말해요.
예: 연 소득 4천만원이면,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1,600만원 넘으면 안 됨 (DSR 40% 기준)

5.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여러 금융상품(예금, 펀드, ETF 등)을 하나의 계좌에서 운용하고,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 연간 투자 수익 중 일정액까지는 비과세 혜택

6. CMA (종합자산관리계좌)

예금처럼 넣어두면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발생하고, 자유롭게 출금도 가능한 계좌입니다.
예: 증권사 CMA에 돈을 넣으면 하루만 지나도 이자가 붙어요.

7. 변동금리 / 고정금리

  • 변동금리: 시장 상황에 따라 금리가 바뀜
  • 고정금리: 일정 기간 동안 금리가 고정됨

💡 대출 시 선택 중요!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가 유리할 수 있어요.

8. 리밸런싱

자산 비중을 다시 조정하는 행위입니다.
예: 주식이 80%, 채권이 20%로 늘어나면, 원래 목표인 60:40 비율로 다시 맞추는 것

9. 분산투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예: 주식 50%, 예금 30%, 금 20%

10. 손실 회피 심리 (Loss Aversion)

사람은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느끼는 심리적 경향이 있습니다.
💡 투자할 때 감정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에요.

📌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 재테크에 관심은 있지만 용어가 어려운 분
  • 투자 공부를 막 시작한 사회초년생
  • 돈 관리에 자신이 없는 분

⭐ 재테크 이해 핵심 포인트

  1. 복리 구조를 이해하면 금융 상품의 힘이 보인다
  2. DSR, ISA, ETF 등은 실제 돈과 세금에 직결됨
  3. 용어를 알면 금융 상담이나 투자 시 현명한 판단 가능

💬 마무리 TIP

재테크는 용어만 익혀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앞으로는 "펀드·주식 용어", "세금 관련 용어" 등으로 더 깊이 있게 이어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