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가 뭔지는 알겠는데, TQQQ? KODEX 200? 추적지수는 또 뭐죠?"
ETF는 소액으로 분산 투자할 수 있는 매력적인 상품이지만,
그만큼 알아야 할 용어도 많습니다.
💡 이 글에서는 ETF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용어 10가지를
쉽고 명확하게,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ETF (상장지수펀드)
지수를 따라가는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만든 상품입니다.
예: 코스피200 ETF는 코스피 200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상품입니다.
2. 추적지수 (Benchmark Index)
ETF가 따라가는 기준 지수를 말해요.
예: 'KODEX 200'의 추적지수는 코스피200 지수입니다.
3. 패시브 운용
ETF 대부분은 시장을 그대로 따라가는 수동적 운용 방식이에요.
예: ETF는 지수 오르면 오르고, 떨어지면 떨어짐 (능동적 매매 없음)
4. 운용보수 (총보수)
ETF를 운용하는 데 드는 수수료입니다.
💡 연간 0.1%~0.5% 정도로, 펀드보다 저렴한 편이에요.
5. 레버리지 ETF
기준 지수의 2배 이상의 수익/손실을 추구하는 상품입니다.
예: 지수가 1% 오르면 레버리지 ETF는 2% 오름 (반대로도 작동)
⚠️ 단기 투자용! 장기 보유 시 수익률 왜곡 가능
6. 인버스 ETF
지수가 떨어질 때 수익을 보는 ETF입니다.
예: 코스피가 하락하면 인버스 ETF는 상승
💡 하락장에서 리스크 회피용으로 사용 가능
7. 시가총액가중형 ETF
구성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큰 종목 비중이 더 높은 방식입니다.
예: 코스피200 ETF에서 삼성전자 비중이 가장 높은 이유
8. 섹터 ETF
특정 업종(IT, 헬스케어, 금융 등)에 집중 투자하는 ETF입니다.
예: TIGER 헬스케어 ETF → 의료/제약 관련 주식 묶음
9. 분배금 (Distribution)
ETF가 보유한 주식의 배당금에서 나오는 수익 배당금이에요.
예: 분배금 지급 일정에 따라 자동 입금됨 (세금 있음)
10. ETF 코드
ETF 이름 옆에 붙은 상품코드(티커)입니다.
예: 미국 TQQQ, SPY / 한국 KODEX200, TIGER나스닥100
📌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 ETF 투자에 관심 있지만 종류가 너무 많아 헷갈리는 분
- 주식보다 안전하고 분산된 자산을 원하는 분
- 미국 ETF에 관심 있는 분
⭐ ETF 핵심 요약 포인트
- ETF는 지수를 추적하는 저비용 분산 투자 상품
- 레버리지/인버스는 단기 대응용으로만 활용
- 섹터, 국가, 테마, 배당 등 다양한 ETF 활용 가능
💬 마무리 TIP
ETF는 한 번에 여러 종목에 투자하면서도 수수료가 낮고, 유연하게 거래 가능한 상품입니다.
기초 개념을 이해하면 TQQQ, SCHD, KODEX 시리즈도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어요.
👉 다음 글에서는 "ETF 실전 투자 편" 또는 "세금·양도소득세 용어 편"으로 이어집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투자에 따른 세금 개념 정리-양도소득세,배당세 등등 (초보 투자자 가이드 7탄) (1) | 2025.05.09 |
---|---|
ETF 실전 투자 체크리스트 10가지 (초보 투자자 가이드 5탄) (0) | 2025.05.08 |
기초 주식·펀드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 가이드 3탄) (0) | 2025.05.08 |
쉬운 재테크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2탄) (1) | 2025.05.08 |
쉬운 경제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1탄) (1)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