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ETF투자에 따른 세금 개념 정리-양도소득세,배당세 등등 (초보 투자자 가이드 7탄)

by 디랩스 2025. 5. 9.

"ETF 수익에도 세금 붙는다는데… 얼마나 떼가나요?"

많은 ETF 초보 투자자들이 세금 문제는 투자 후에야 알게 됩니다.
특히 국내 ETF vs 해외 ETF, 배당 vs 매매 차익의 세금 차이를 모르면
나중에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TF 투자로 생기는 수익에 붙는 세금 종류와 계산법
정확하고 쉽게 알려드립니다.

1. ETF 수익에 붙는 세금 2가지

  • 배당소득세 – 분배금(배당)에 붙음
  • 양도소득세 – 매매 차익(시세차익)에 붙음

2. 국내 ETF – 세금 요약

구분세금 종류세율과세 방식
매매 차익비과세0%따로 신고 안 함
분배금배당소득세15.4%자동 원천징수

💡 국내 ETF는 주식과 동일한 과세 방식이라 이해하기 쉬워요.

3. 해외 ETF – 세금 요약

구분세금 종류세율과세 방식
매매 차익양도소득세22%직접 신고 (연 1회)
분배금배당소득세15~30%외국 원천징수 후 국내 면제

⚠️ 해외 ETF는 250만원 초과 양도차익에 대해 과세됩니다.

4. ETF 양도소득세 계산법 (해외)

과세표준 = (매도가 - 매수가 - 수수료 등 비용) - 기본공제(250만원)
세금 = 과세표준 × 22%

예: 매도 6,000 → 매수 5,000 → 차익 1,000 → 세금 165만원

5. 해외 ETF 배당세는 자동 징수

미국 ETF에서 나오는 배당은 미국에서 15% 자동징수됩니다.
한국에서는 추가 세금 없음 (단, 미국 외 국가는 다를 수 있음)

6. 세금 신고는 언제? (해외 ETF 양도세)

  •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
  • 국세청 홈택스 > 양도소득세 > 금융소득 항목 입력

💡 손실난 ETF는 이익 ETF와 합산공제 가능

7. ISA 계좌에선 세금 절감 가능

상품일반 계좌ISA 계좌
국내 ETF분배금 15.4%분배금 일부 비과세
해외 ETF양도세 22%최대 400만원 비과세

8. 연금저축펀드/IRP는 더 유리

ETF를 연금저축이나 IRP에서 운용하면
🔹 매매차익/분배금 모두 비과세
🔹 55세 이후 수령 시 연금소득세(3.3~5.5%)만 과세

9. 세금 줄이려면 '장기 보유 + 절세 계좌' 활용

ETF는 자주 사고팔기보다
- 장기 보유
- ISA, 연금 계좌 활용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10. 세금 대비도 투자 전략이다

ETF 수익이 같아도 세금 때문에 실제 수익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투자 전 반드시 "이 ETF는 어떤 세금이 붙는가?"를 따져보세요.

📌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 ETF를 본격적으로 투자 중인 분
  • 해외 ETF 수익 신고 시기를 알고 싶은 분
  • 절세 방법에 관심 많은 재테크 초보

⭐ ETF 세금 핵심 요약

  1. 국내 ETF 매매차익은 비과세, 배당엔 15.4%
  2. 해외 ETF는 양도차익 250만원 초과 시 22% 과세
  3. ISA·IRP·연금저축 활용 시 세금 절감 가능

💬 마무리 TIP

세금은 ETF 투자의 "숨은 비용"입니다.
모르고 있으면 손해, 알면 절세입니다.

👉 다음 편에서는 국내 vs 해외 ETF 포트폴리오 구성법을 안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