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볼 때마다 GDP, 금리, 인플레이션…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경제에 대해 관심은 있지만, 용어 자체가 너무 어렵게 느껴진다는 분들이 많죠.
💡 경제를 이해하는 첫걸음은 기초 용어부터 익히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비전공자도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실생활 중심 예시와 함께 주요 경제 용어 10가지를 쉽게 설명드립니다.
1. GDP (국내총생산)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을 말해요.
예: 한국의 1년 GDP가 증가했다면, 경제 규모가 커졌다는 의미입니다.
2. 금리
돈을 빌릴 때 내는 이자 비율이에요.
예: 대출 금리가 5%라면, 1,000만원 빌리면 1년에 50만원 이자를 냅니다.
💡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도 보통 같이 올라요.
3. 인플레이션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현상입니다.
예: 1년 전엔 커피가 3,000원이었는데 지금은 3,500원이라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거예요.
4. 디플레이션
반대로, 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이에요.
예: 소비가 줄고 물가가 계속 떨어지면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5. 기준금리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대표 금리입니다.
이 금리를 기준으로 시중 은행 금리도 결정돼요.
예: 기준금리가 3%에서 3.5%로 오르면 대출금리도 올라갑니다.
6. 환율
우리나라 돈과 다른 나라 돈의 교환 비율이에요.
예: 1달러가 1,300원이라면 환율은 1,300원입니다.
💡 환율이 오르면 수출기업엔 유리하고, 수입물가는 오를 수 있어요.
7. 실업률
일할 능력이 있는 사람 중 일을 못 하고 있는 비율입니다.
예: 100명 중 5명이 일을 못 하고 있다면 실업률은 5%입니다.
8. 자산
현금, 부동산, 주식처럼 가치가 있는 것들을 말합니다.
예: 집 한 채, 예금통장, 주식 계좌 모두 자산입니다.
9. 부채
빌린 돈이나 갚아야 할 돈입니다.
예: 전세 보증금 대출, 학자금 대출, 신용카드 할부 등이 모두 부채입니다.
10. 금융
돈을 빌리고 불리고 거래하는 모든 활동을 말해요.
예: 예금, 대출, 보험, 투자 등은 전부 금융에 포함됩니다.
📌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 경제 뉴스, 기사 내용이 어려운 분
- 금융 용어에 대한 기초 이해가 필요한 분
- 자녀나 학생에게 경제 상식을 알려주고 싶은 분
⭐ 경제 기초 이해 핵심 요약
- GDP, 금리, 인플레이션은 뉴스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용어
- 용어만 알아도 뉴스 50%는 이해 가능
- 실생활 중심으로 접근하면 경제가 훨씬 쉽게 느껴집니다
💬 마무리 TIP
경제는 절대 어려운 학문이 아닙니다. 기초 용어부터 익히면 재미있는 세상이 열립니다.
앞으로 "경제 용어 시리즈"를 통해 더 많은 내용을 쉽게 전달해드릴게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투자에 따른 세금 개념 정리-양도소득세,배당세 등등 (초보 투자자 가이드 7탄) (1) | 2025.05.09 |
---|---|
ETF 실전 투자 체크리스트 10가지 (초보 투자자 가이드 5탄) (0) | 2025.05.08 |
기초 ETF 투자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 가이드 4탄) (0) | 2025.05.08 |
기초 주식·펀드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 가이드 3탄) (0) | 2025.05.08 |
쉬운 재테크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2탄) (1)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