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초 주식·펀드 용어 정리 10가지 (초보 투자자 가이드 3탄)

by 디랩스 2025. 5. 8.

"PER, 우량주, 시가총액… 용어가 너무 어려워서 시작도 못 하겠어요."

많은 분들이 주식은 공부가 먼저다는 얘기를 듣고 겁부터 먹습니다.
하지만 사실 용어만 이해해도 뉴스, 종목 분석, 리포트가 훨씬 쉽게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 주식/펀드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10가지
간단한 정의 + 예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주식

회사의 소유권을 나눈 조각입니다.
예: 삼성전자 주식을 1주 보유하면, 삼성전자에 대한 아주 작은 소유권이 생긴 거예요.

2. 펀드

여러 사람이 돈을 모아 전문가(운용사)가 대신 투자해주는 간접 투자 상품입니다.
예: 내가 직접 주식 고르지 않아도 펀드를 통해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 가능

3. 우량주

재무 상태가 좋고 안정적인 대기업 주식이에요.
예: 삼성전자, 현대차, LG화학 등은 대표적인 우량주

4.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회사의 순이익 대비 몇 배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 PER 10이면, 현재 주가는 1년 순이익의 10배라는 의미
💡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종목일 가능성이 있어요.

5. 시가총액

주가 × 발행 주식 수 = 그 회사의 전체 시장가치입니다.
예: 시가총액이 크면 그만큼 시장에서 영향력도 큽니다.

6. 배당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돈입니다.
예: 연말에 1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어요.

7. 분할매수

주식을 한 번에 사지 않고 여러 번 나눠서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예: 삼성전자 주식을 10주 살 때, 5주→3주→2주로 나눠 매수

8. ETF (상장지수펀드)

펀드지만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상품이에요.
예: 'KODEX 200' ETF는 코스피 주요 200종목을 한 번에 투자

9. 손절 (손실절단)

주가가 일정 이상 떨어지면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 감정적 대응보다 손절 기준을 사전에 정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평균단가

자신이 보유한 주식의 평균 매입 가격입니다.
예: 60,000원에 5주, 70,000원에 5주 매수했다면 평균단가는 65,000원

📌 이런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 주식 투자에 입문하려는 사회초년생
  • 펀드나 ETF에 관심 있는 직장인
  • 리포트나 기사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싶은 분

⭐ 주식·펀드 용어 핵심 요약

  1. 주식은 회사의 조각, 펀드는 전문가의 투자 묶음
  2. PER, 시가총액, 배당 등은 종목 분석의 핵심
  3. 분할매수, 손절, 평균단가 등은 실전 전략에 꼭 필요

💬 마무리 TIP

용어를 아는 만큼 투자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ETF 투자 편", "세금·양도소득세 편"도 이어질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