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BR3

좋은 기업 고르는 법 (재무제표 실전 활용) 좋은 기업은 ‘지표’로 증명된다주식 고수들은 항상 “좋은 기업에 투자하라”고 말합니다.하지만 ‘좋다’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고, 그 기준을 숫자로 설명할 수 있어야 진짜 투자자입니다.✔ 이 글에서는 PER, PBR, ROE, 현금흐름, 부채비율 등을 바탕으로 좋은 기업을 선별하는 실전 기준을 소개합니다.● 기본 5대 지표로 1차 필터링● PER 5~15배→ 지나치게 낮은 건 함정일 수 있음● PBR 1 이하→ 자산 대비 저평가된 기업● ROE 10% 이상→ 자본을 효율적으로 쓰는 기업● 영업활동 현금흐름 +→ 본업에서 돈을 꾸준히 버는 구조● 부채비율 100% 이하→ 안정적인 재무 구조✔ 위 5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업은 전체 시장에서도 상위권에 속합니다.● 같은 숫자, 다른 기업두 기업이 PER.. 2025. 5. 13.
재무제표 읽는 법과 핵심 지표 이해 주식은 ‘기업의 일부를 사는 것’입니다.그렇다면 내가 어떤 기업을 사고 있는지, 재무 상태가 어떤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재무제표를 읽는 이유: 숫자가 말하는 기업의 본질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주식을 사기 전 뉴스, 유튜브, 커뮤니티 글을 먼저 봅니다.하지만 정작 기업의 ‘실제 상태’를 보여주는 재무제표는 잘 보지 않죠. 이유는 하나입니다. 어렵고, 재미없어 보이기 때문입니다.하지만 투자에 있어서 재무제표는 단 하나의 ‘진실된 언어’입니다.CEO는 실적이 좋다고 말할 수 있고, 유튜버는 추천을 남발할 수 있지만, 재무제표는 조작이 어렵고 숨길 수 없습니다.손익계산서: 기업의 이익은 ‘진짜’인가?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어떻게 돈을 벌고, 무엇에 썼으며, 얼마나 남겼는지를 보여줍니다.이때 투자자가 봐야.. 2025. 5. 13.
PER·PBR·EPS로 기업 가치를 읽는 법 (주식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재무제표) “이 주식 비싸 보이는데, 진짜 그런가요?”“PER 5배면 싼 거 맞죠?”주식 투자의 본질은 ‘가치보다 싸게 사는 것’입니다.그 가치를 수치로 표현해주는 대표 지표가 PER, PBR, EPS입니다.하지만 숫자만 봐서는 그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많죠.이번 글에서는✔️ PER·PBR·EPS의 정의✔️ 해석법과 주의할 점✔️ 실제 종목 평가에 적용하는 방법을 간단하면서도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1. PER (주가수익비율)📌 정의: 시가총액 ÷ 연간 순이익 (혹은 주가 ÷ 주당순이익)→ ‘이 기업의 이익으로 투자금 회수까지 몇 년 걸릴까’PER 10배: 연간 수익률 10%PER 낮음 = 저평가일 수 있지만, 이익 감소 우려도 고려해야PER 높음 = 고평가처럼 보여도 성장 기대 반영일 수도 있음💡 성장주.. 2025.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