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기업은 ‘지표’로 증명된다
주식 고수들은 항상 “좋은 기업에 투자하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좋다’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고, 그 기준을 숫자로 설명할 수 있어야 진짜 투자자입니다.
✔ 이 글에서는 PER, PBR, ROE, 현금흐름, 부채비율 등을 바탕으로 좋은 기업을 선별하는 실전 기준을 소개합니다.
● 기본 5대 지표로 1차 필터링
- ● PER 5~15배
→ 지나치게 낮은 건 함정일 수 있음 - ● PBR 1 이하
→ 자산 대비 저평가된 기업 - ● ROE 10% 이상
→ 자본을 효율적으로 쓰는 기업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 본업에서 돈을 꾸준히 버는 구조 - ● 부채비율 100% 이하
→ 안정적인 재무 구조
✔ 위 5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기업은 전체 시장에서도 상위권에 속합니다.
● 같은 숫자, 다른 기업
두 기업이 PER 10이라도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A 기업: 10년 연속 영업이익 흑자, 배당 있음, ROE 15%
- ● B 기업: 일회성 이익으로 순이익 급등, ROE 6%, 배당 없음
→ PER은 같아도 내용은 완전히 다릅니다.
✔ 지표의 조합과 맥락 해석이 중요합니다.
● 반드시 함께 봐야 할 보조 지표
- ● 매출 성장률 → 3년 이상 우상향이면 긍정적
- ● 배당 성향 → 배당 지속 시 이익 질이 좋을 가능성 ↑
- ● 이익잉여금 → 미래 투자 여력과 안정성 판단 기준
✔ ‘성장 + 안정 + 지속성’을 함께 보는 시야가 필요합니다.
● 기업 비교는 ‘동일 산업 내’에서
PER, ROE 등의 숫자는 동일 산업군 평균과 비교하지 않으면 왜곡될 수 있습니다.
- ● IT기업 평균 PER: 25
- ● 조선업 PER: 7
- ● 유통업 PER: 10
→ PER 10도 IT기업에선 저평가, 조선업에선 고평가일 수 있음
✔ 산업군 평균 기준과 비교하세요.
● 개인 투자자가 활용할 수 있는 툴
- ✔ 네이버 금융 (finance.naver.com) → 종목 검색 후 ‘재무제표’ 탭
- ✔ DART 전자공시 (dart.fss.or.kr) → 사업보고서 원문 열람
- ✔ HTS/MTS 조건검색 → 5대 조건 필터링 가능
● 실제 스크리닝 조건 예시
아래 조건을 조합하면 기초적으로 양호한 종목들을 추릴 수 있습니다.
- ● PER: 5~15
- ● PBR: 1 이하
- ● ROE: 10% 이상
- ● 부채비율: 100% 이하
- ● 영업활동 CF: 최근 3년 연속 +
→ 해당 조건에 부합하면 정밀 분석 2단계로 이동
마무리
좋은 기업은 겉으로는 평범해 보일 수 있습니다. 뉴스에 잘 나오지 않고, 커뮤니티에서 언급도 적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숫자는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 숫자는 입문자에게 가장 정직한 필터입니다.
지표는 뚫고 나가야 할 장벽이 아니라, 피해야 할 회사를 걸러주는 방패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밸런싱이란 무엇일까? (ETF투자 전략과 주의사항) (0) | 2025.05.14 |
---|---|
ETF가 뭐길래? (ETF를 활용한 분산투자 방법) (1) | 2025.05.14 |
재무제표 읽는 법과 핵심 지표 이해 (0) | 2025.05.13 |
호가창과 체결 구조 이해하기 (0) | 2025.05.13 |
주식 시작 전 이건 꼭! (증권사 선택과 계좌 개설)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