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이 쌓이면 전략이 된다)
왜 투자 일지가 필요한가?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실수합니다.
- ● 왜 이 종목을 샀는지
- ● 언제 팔기로 했는지
- ● 그날 감정 상태가 어땠는지
→ 전혀 기억하지 못합니다.
✔ 투자 일지는 ‘성공한 투자자’와 ‘계속 흔들리는 투자자’를 가르는 핵심 습관입니다.
● 투자 일지의 핵심 효과
- ✔ 판단의 근거 정리 → 충동 매수/매도 방지
- ✔ 감정의 흐름 추적 → 공포, 탐욕 인식 가능
- ✔ 성과 분석 기반 확보 → 수익률의 원인·패턴 확인
📌 수익률이 좋은 날보다 기록이 꾸준한 날이 더 중요합니다.
● 투자 일지, 이렇게 씁니다
- 1. 날짜와 시장 상황 요약 → 오늘의 지수, 금리, 환율 등
- 2. 매수/매도 종목 및 이유 → 산업 분석, 수급, 차트 등
- 3. 내 상태 기록 → 두려움, 확신, 초조함 등 감정 체크
- 4. 포트폴리오 비중 메모 → 종목별, ETF별 자산 구성
- 5. 다음 액션 계획 → 익절/손절 기준 사전 설정
✔ 이 다섯 항목만 정리해도 투자 행동은 훨씬 냉정해집니다.
● 수익률 계산, 이렇게 정리하세요
- 단순 수익률(%) = (평가금 - 총 매수금) ÷ 총 매수금 × 100
- 연환산 수익률(%) = [(1 + 누적 수익률) ^ (1 ÷ 투자기간)] - 1
ETF 예시 기록:
- ● 종목명: TIGER S&P500
- ● 총 매수 금액: 1,000,000원
- ● 평가금액: 1,180,000원
- → 누적 수익률: 18%
✔ 매달 1회 수익률을 기록하면 전략 수정이 가능합니다.
● 투자노트는 어디에 쓸까?
- ✔ 구글 스프레드시트 → 실시간 계산 + 백업 + 모바일 활용
- ✔ 네이버 캘린더 / 노션 → 감정 추적 + 일정 관리
- ✔ 실물 노트 → 감성적 동기 부여 + 습관 형성
✔ 중요한 건 어디에 쓰느냐가 아니라, 계속 쓰느냐입니다.
● 매주/매월 루틴 만들기
- ● 매주: 투자일지 작성 + 뉴스 요약 + 산업 키워드 정리
- ● 매월: 수익률 계산 + 리밸런싱 판단
- ● 매분기: ETF 구성 종목/정책 변화 체크
✔ 루틴은 반복될수록 시간은 줄고 전략은 뚜렷해집니다.
마무리
투자에서 중요한 건 수익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입니다.
그리고 지속을 위해 필요한 건 기억이 아니라 기록입니다.
✔ 기록하지 않는 투자자는 같은 실수를 반복합니다.
✔ 당신만의 투자 전략은, 당신의 일지 속에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적립식 투자 전략(타이밍보다 꾸준함이 수익을 만든다) (0) | 2025.05.15 |
---|---|
ETF 고르기, 산업 분석부터 (정책·트렌드·수요로 판단하는 ETF 선택 전략) (0) | 2025.05.15 |
리밸런싱이란 무엇일까? (ETF투자 전략과 주의사항) (0) | 2025.05.14 |
ETF가 뭐길래? (ETF를 활용한 분산투자 방법) (1) | 2025.05.14 |
좋은 기업 고르는 법 (재무제표 실전 활용) (1)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