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호가창과 체결 구조 이해하기

by 디랩스 2025. 5. 13.

계좌를 개설했는데… 도대체 ‘호가창’은 뭘 보고 어떻게 사라는 걸까요?
주식 초보자들이 가장 당황하는 부분이 바로 호가창체결 시스템입니다.

가격이 왜 계속 움직이고, 내가 주문한 건 언제 체결되는지, 왜 안 되는지…
이번 글에서는 호가창을 구성하는 요소부터 매수·매도 체결의 순서, 가격 우선 원칙까지 실제 거래에 필요한 기본기

모두 알려드립니다.

호가창이란 무엇인가?

‘호가창’은 시장 참여자들이 얼마에 팔고 싶은지(매도), 얼마에 사고 싶은지(매수) 가격과 수량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 매수호가: 내가 주식을 사려고 제시하는 가격
  • 매도호가: 내가 주식을 팔려고 제시하는 가격

즉, 호가 = 제시 가격입니다.

예시: 호가창 구조

가격     매도잔량        ||     매수잔량     가격  
10,100     3,200        ||      5,400     10,000  
10,200     1,900        ||      3,000      9,900  
10,300     1,500        ||      2,800      9,800

중요: 가장 높은 매수 가격과 가장 낮은 매도 가격 사이에서 실시간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주식 주문이 체결되는 원리

기본 원칙: 가격 우선, 시간 우선

  1. 가격 우선의 원칙: 더 좋은 가격의 주문이 먼저 체결
  2. 시간 우선의 원칙: 같은 가격이면 먼저 주문한 사람이 우선

주문 종류 이해하기

주문 방식 설명 입문자 추천
지정가 주문 원하는 가격을 직접 입력 YES (처음은 이걸로!)
시장가 주문 현재 체결 가능한 가격으로 즉시 거래 빠른 거래엔 유리
조건부 지정가 장중에는 지정가, 종가에는 시장가로 전환 중급자용
최유리/최우선호가 현재 시장에 맞춘 자동호가 단타/고급자용

체결 흐름 예시

예: 현재가 10,000원일 때

  • A가 10,100원에 매수 주문
  • B가 10,000원에 매도 주문

→ A의 주문이 먼저 체결되고 거래 성사
→ 새로운 현재가는 10,000원 (마지막 체결가)

입문자가 자주 헷갈리는 점

  • 주문했는데 체결 안 됨?
    → 지정가 주문은 상대가 수락해야 체결됩니다.
  • 시장가로 했더니 비싸게 삼
    → 거래량 적은 종목은 시장가 주문 시 손해 가능
  • 체결되면 바로 팔 수 있음?
    → 가능하지만 수수료와 세금도 함께 고려해야 함

장중 흐름과 체결 전략

  • 장 시작(09:00)과 마감 직전(15:00~15:30)에 거래량 급증
  • 호가 간격이 좁은 종목 = 안정적 / 넓은 종목 = 변동성 큼
  • 매수호가가 두꺼우면 상승 가능성, 매도호가가 많으면 하락 압력

마무리

호가창은 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니라,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전략이 실시간으로 드러나는 공간입니다.

매일 한 종목이라도 꾸준히 관찰하면 거래 구조가 자연스럽게 익혀집니다.

다음 편에서는 ‘재무제표 읽는 법’을 주제로 PER, PBR, ROE, EPS 같은 지표가 실제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겠습니다.